목록프로젝트 (5)
charminseok

이번 프로젝트에서 코맨드 관련 API를 설정하였다. 그중에서 댓글과 파일을 같이 업로드하는 API가 있었는데, Body 부분에 id, score, comment, file을 포함했는데, MultipartFile는 JSON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어서 @RequestBody을 사용하는 대신 @ModelAttribute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댓글 등록 결과 화면 2. 결과 화면 3. 이미지 다운로드 결과 화면 MultipartFile으로 파일을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했지만, 보안에 관한 부분은 거의 생각하지 못했다. 해본다면 보안에 신경써서 서버를 구현하는 것도 시도해 봐야겠다. 스프링 mvc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올릴 수 있었고 A..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spring Security를 사용해 로그인하고 로그인한 이메일로 user 테이블의 정보를 받아와 Id를 이용해 예약(Post), 예약확인(Get), 예약취소(Put)을 실행하는 것이다. 그전 프로젝트에서는 Web.xml로 Config 설정을 했지만 이번엔 java를 사용해 설정을 했다.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하기 위해서 SecurityWebApplicationInitializer.java 클래스도 작성하였다. SecurityConfig.java 클래스에서는 프로젝트의 명세서에 나온 것처럼 로그인을 해야 들어갈 수 있는 페이지를 설정했다. .antMatchers("/api/reservations/**").hasRole("USER") 으로 USER권한이 있어야만 들어갈 수 있다. 이제 ..

부스트코스의 웹 백엔트 강의에서 Spring MVC를 사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먼저 ecplise의 maven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기본 설정과 Spring MVC, Spring JDBC, MySQL 등을 사용할 설정파일(pom.xml, web.xml...) 작성하였다. MySQL의 테이블은 제공해준 파일을 실행해 테이블 생성과 샘플 데이터를 추가해 줬고, DispatcherServlet이 설정을 읽어들일 수 있도록 Congifuration파일을 작성, DB연결을 위한 DBconfig파일을 작성했다. 위 부분은 강의를 들으면서 실습했던 부분들에서 배울 수 있었다. 이제 Web API 부분을 직접 구현하는 차례다. 원하는 데이터를 읽어 들이기 위해서 DTO, DAO, Service, ServiceImp..
졸업프로젝트로 안드로이드 악성앱을 검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팀원과 같이 진행했는데, 안드로이드 가상머신을 깔아서 packet을 캡쳐해 pcap파일로 저장했다. play store에 있는 정상적인 앱들 20개 정도를 실행해 정상앱 pcap파일을 얻었다. 악성앱 데이터는 https://www.unb.ca/cic/datasets/ Datasets | Research | Canadian Institute for Cybersecurity | UNB www.unb.ca 위의 홈페이지에서 큰 카테고리로 Adware, Ransomware, Scareware, SMS Malware가 있었다. 여기서 앱을 다운받아 가상머신에서 실행시켜 패킷을 캡쳐했다. 그런데 한번 실행 시킬때마다 가상머신이 다운되서 몇번 못하고 데..
3학년 때, 컴퓨터 그래픽스 수업을 들었던 적이 있다. 여러가지 컴퓨터 그래픽에 관련된 것을 배웠고 obj파일을 직접 파싱해 오브젝트를 그리고 openGL을 사용해 배경이나 동작 설정 같은 것들을 했었다. 주제는 3D 카탈로그를 만드는 것이였는데, 나는 촬용영 드론을 이용해보는 시뮬레이션을 만들었었다. 드론의 몸체는 3D max를 이용해 직접 obj파일을 만들었고 나머지 움직임 부분은 visual stdio에서 opengl으로 구현했다. 드론의 움직임을 구현할 때 조금 어려웠는데, trans와 rotate가 처음부터 계산되면 움직임이 이상해진다. 이동, 회전 후 다시 이동이 이상해지거나 회전, 이동 후 다시 회전이 이상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였다. 2년전이라 잘 기억이 나질 않지만 움직임 후에 드론의 ..